직장인 건강검진은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직장인 건강검진 항목, 금식 준비사항, 비용 및 본인 부담금에 대해 자세히 안내합니다.

1. 직장인 건강검진 항목
기본 직장인 건강검진 항목
모든 직장인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검사항목으로, 건강 상태 전반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.
- 신체계측 : 신장, 체중, 허리둘레 측정으로 비만 여부 확인
- 시력 및 청력 검사 : 시각과 청각 이상 여부 검사
- 혈압 측정 : 고혈압 여부 확인
- 소변 검사 : 신장 및 비뇨기계 이상 여부 검사
- 혈액 검사 : 혈당, 콜레스테롤, 간 및 신장 기능 검사
- 흉부 X-ray : 폐 및 심장 이상 여부 확인
- 구강검진: 치주 질환 여부 검사
연령별·성별 추가 검진 항목
기본 직장인 건강검진 항목 외에 연령과 성별에 따라 필요에 따라 추가 검사항목이 적용됩니다.
- 이상지질혈증 검사 : 남성 24세 이상, 여성 40세 이상 (4년마다)
- B형 간염 검사 : 만 40세 (면역자 및 보균자 제외)
- 골밀도 검사 : 54세와 66세 여성
- 정신건강 검사 : 만 20세부터 70세까지, 10년 주기
- 암 검진 : 위암, 대장암, 간암, 유방암, 자궁경부암 등 (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름)
2. 직장인 건강검진 비용 및 본인 부담금 안내
직장인 건강검진의 기본 항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전액 지원하므로 무료입니다.
하지만 특정 암 검진과 선택적 검진 항목에서는 본인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암 검진 항목별 비용 구조
- 위암, 간암, 유방암, 폐암 : 국민건강보험공단이 90%를 지원하며, 본인은 약 10% 부담
- 대장암, 자궁경부암 :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100% 지원하여 무료로 검진 가능
본인 부담금 예시
병원에 따라 비용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, 대략적인 본인 부담금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위암 (위내시경) : 약 1만 ~ 2만 원
- 간암 (간초음파) : 약 1만 ~ 2만 원
- 유방암 (유방촬영술) : 약 5천 ~ 1만 원
- 폐암 (저선량 흉부 CT) : 약 1만 ~ 2만 원
참고 : 의료급여 수급권자와 같은 취약 계층은 본인 부담금 10%도 국가와 지자체에서 지원하여 무료로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
선택 항목 추가 비용
검진을 받을 때 선택적으로 수면내시경을 요청할 경우, 마취 비용은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하며, 보통 5만 ~ 10만 원 정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3. 검진 전 금식 및 준비사항
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위해 금식이 필요합니다. 금식을 지키지 않으면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금식 필요 시간
- 혈당 검사, 콜레스테롤 검사 : 최소 8~12시간 금식 (전날 저녁 9시 이후부터 금식 시작)
- 물 섭취 : 금식 중 물은 소량으로 섭취 가능하지만, 커피, 주스, 우유 등은 금지
- 주의 사항 : 담배, 껌도 금지, 아침 식사도 피해야 합니다.
건강검진 당일 준비사항
- 편안한 복장 : 금속 장식이 없는 옷 착용 (X-ray 검사 시 금속 장식이 방해가 될 수 있음)
- 신분증 및 건강보험증 지참 : 본인 확인용
- 복용 중인 약물 : 혈압약이나 당뇨약을 복용 중이라면 검진 전 의사와 복용 방법을 상의해야 합니다.
4. 건강검진 결과 확인 및 추가 검사
검진 결과는 보통 1~2주 내에 우편이나 이메일로 전달되며,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검사 결과에 이상이 발견될 경우 병원에서 추가 검사를 권유받을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1. 건강검진을 받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나요?
건강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 첫해 미수검 시 5만 원, 이후 매년 10만 원씩 가산됩니다. - Q2. 암 검진 추가 시 비용이 발생하나요?
일부 암 검진에는 본인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위암, 간암, 유방암, 폐암은 10% 본인 부담금이 있으며, 대장암과 자궁경부암은 무료입니다. - Q3. 금식 중 물은 마셔도 되나요?
소량의 물 섭취는 가능하지만, 커피, 주스, 담배 등은 금물입니다. - Q4. 건강검진 결과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?
검사 후 1~2주 내에 우편 또는 이메일로 결과를 받을 수 있으며,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.